오늘은 조선시대 금주령에서 유래한 '약주'의 뜻과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는 술이 보약이라는 말하는 애주가들이 술을 '약주'라고 표현하거나 실제로 몸에 좋은 재료를 사용해서 만든 담금주를 '약주'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정확한 의미는 저도 이번에 알게 됐습니다.
'약주'라는 단어는 우리나라에서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해왔던 말이라고 합니다. 조선왕조실록을 살펴보면 왕과 왕비 등이 좋은 약술을 반주로 마셨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 '약주'는 조선 시대 금주령과 관련되어 있다는 설이 있습니다.
금주령 때문에 술은 마시지 못했지만 당시 '약이 빨리 듣게 하려고 쓰는 술'은 허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높은 양반들은 금주령을 피하고자 약용으로 쓰는 술로 위장하여 몰래 마셨다고 합니다.
이를 본 백성들이 지체 높은 사람들이 마시는 술을 '약주'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약주'는 술의 높임말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